미국의 심한 견제 속에서도 중국의 반도체 생산 내재화 움직임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. 대만 TSMC와 한국 삼성전자 등이 10㎚(나노미터・10억분의 1m) 이하 미세공정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과 별개로, 중국은 전 세계 시스템 반도체 수요의 95%를 차지하고 있는 14㎚ 이상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방침이다. 반도체 패권을 중국으로 가져오겠다는 것이다.
6일 전자 업계와 해외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28㎚ 반도체 양산에 성공한 SMIC를 중심으로 내년에는 14㎚ 칩 대량 생산에 나선다. 영국 정보기술(IT) 전문 매체 토탈텔레콤은 최근 “전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70%를 소비하는 중국이 내년이면 14㎚ 칩 대량 생산에 들어갈 것”이라며 “세계 최대의 반도체 공급 국가는 향후 중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”라고 보도했다. 앞서 지난 6월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“반도체는 전자 산업이 고속 발전하는 원동력이다”라며 “올해 28㎚ 대규모 양산을 시작으로 내년 말 중국산 14㎚ 반도체 제품이 양산될 것이다”라고 했다.
중국은 전세계 반도체 수요의 70%를 차지하고 있지만, 이 수요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생산된 반도체에 의존하고 있다. 업계 관계자는 “중국의 현재 반도체 전략은 해외 의존 반도체를 모두 중국 내 생산으로 돌리고, 나아가 글로벌 시장의 패권을 가져오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”라고 했다.
중국이 14㎚ 이상 반도체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이들 반도체가 글로벌 수요의 95%를 차지하고 있어서다. 14㎚ 이상 반도체는 현재도 산업 전반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. 중앙처리장치(CPU), 그래픽처리장치(GPU),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(AP) 뿐만 아니라, 디스플레이 구동칩(DDI), 이미지센서(CIS), 전력반도체(PMIC),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(MCU) 등에 모두 쓰인다. 때문에 중국은 10㎚ 이하 미세공정 경쟁에서 크게 앞서간 TSMC와 삼성전자를 빠르게 따라가지 않더라도 14㎚ 이상 반도체 시장만 제대로 공략할 수 있다면 반도체 패권 다툼에서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.
......
[원문보기] https://biz.chosun.com/it-science/ict/2021/08/06/PMPNE2XE3ZHALKWG7K6B5Y3X4Y/